세계로 도약하는
연구중심대학(BK21 FOUR)
2 0 2 4 학 년 도 대 학 원 입 학 전 형 기 본 계 획
<일반전형/ 학과간협동과정/ 학연산협동과정/ 정부위탁생특별전형>
2023. 8.
(입학본부 입학과)
- 1 -
Ⅰ
학위과정별 모집인원, 모집전형 및 학과
1. 정원 내 전형
가. 일반학과
과 정
전 형 유 형
모집학과(수)
모집인원
(명)
비 고
석사과정
일반전형
74개 학과
629
학과간협동과정
17개 학과
학연산협동과정
18개 협약체결기관별 협약학과
계
629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포함)
일반전형(전일제)
68개 학과
136
학과간협동과정(전일제)
15개 학과
일반전형(비전일제)
68개 학과
166
학과간협동과정(비전일제)
15개 학과
박사과정
학연산협동과정
18개 협약체결기관별 협약학과
계
302
합 계
931
※ 위 모집인원은 2023학년도 입학정원을 반영하였으며, 2024학년도 정원 조정 결과에 따라 조정(변경)될 수 있음.
※ 위 석사과정의 모집인원에는 학․석사연계과정 대학원 석사과정 입학(진입)인원이 포함되어 있음.
※ 박사과정(석‧박사통합과정 포함)은 전일제와 비전일제 학생으로 구분 모집(선발)
<단, 2개의 전형(전일제/비전일제) 중 하나의 전형(전일제 또는 비전일제)에서 해당 모집인원 대비 사정대상인원이
미달한 경우 미달 되지 않은 전형(전일제 또는 비전일제)으로 모집인원 재배정>
※ 석·박사통합과정은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이 모두 개설된 학과 중에서 학과의 신청을 받아 모집요강에 반영함.
※ 박사과정의 ‘학연산협동과정’의 경우, 모집인원 배정에서 ‘비전일제’에 포함(이하 같음)
나. 첨단분야학과
첨단분야학과명
과 정
전형유형
모집인원
(명)
비 고
전기․전자․정보․컴퓨터학부
(전기공학전공)
석사과정
일반전형
18
학연산협동과정
박사과정
일반전형
5
학연산협동과정
석
·박사통합과정
일반전형
계
23
전기․전자․정보․컴퓨터학부
(전자공학전공)
석사과정
일반전형
16
학연산협동과정
계
16
전기․전자․정보․컴퓨터학부
(정보통신공학전공)
석사과정
일반전형
14
학연산협동과정
박사과정
일반전형
8
학연산협동과정
석
·박사통합과정
일반전형
계
22
- 2 -
첨단분야학과명
과 정
전형유형
모집인원
(명)
비 고
전기․전자․정보․컴퓨터학부
(전파통신공학전공)
석사과정
일반전형
10
학연산협동과정
박사과정
일반전형
9
학연산협동과정
석
·박사통합과정
일반전형
계
19
전기․전자․정보․컴퓨터학부
(반도체공학전공)
석사과정
일반전형
22
학연산협동과정
박사과정
일반전형
7
학연산협동과정
석
·박사통합과정
일반전형
계
29
전기․전자․정보․컴퓨터학부
(컴퓨터과학전공)
석사과정
일반전형
16
학연산협동과정
박사과정
일반전형
11
학연산협동과정
석
·박사통합과정
일반전형
계
27
합 계
석사과정
96
박사과정
40
석
·박사통합과정
합 계
136
※ 위 모집인원은 2023학년도 입학정원을 반영하였으며, 2024학년도 정원 조정 결과에 따라 조정(변경)될 수 있음.
※ 위 석사과정의 모집인원에는 학․석사연계과정 대학원 석사과정 입학(진입)인원이 포함되어 있음.
※ 각 첨단분야학과의 학위<석사/박사(석․박사통합 포함)>과정 내, 전형유형별 모집인원은 기본계획 확정 후,
해당 첨단분야학과의 의견을 받아 모집요강에 반영함.
※ 각 첨단분야학과의 학위<석사/박사(석․박사통합 포함)>과정 내, 전형유형별 모집인원 대비 사정대상인원이
미달한 경우 미달되지 않은 전형으로 모집인원 재배정(동일과정 내 우선 배정).
2. 정원 외 전형(정부위탁생특별전형)
가. 모집학위과정: 석사과정
나. 모집학과: 일반전형 및 학과간협동과정의 전(全) 학과
※ ‘일반학과’와 ‘첨단분야학과’ 구분 없이 모집(선발)
(단, 식품영양학과 임상영양학전공 및 간호학과 감염관리전문간호전공은 모집에서 제외)
다. 모집인원: 석사과정
(일반학과 + 첨단분야학과) 입학정원의 10% 이내
※ 위 학위과정별 모집인원, 모집전형 및 모집학과 등은 충북대학교의 2024학년도 대학원 학생정원
조정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대학원 외국인특별전형은 국제교류본부에서 모집(시행)함.
- 3 -
Ⅱ
모집방법 및 모집인원 배정방법
1. 모집(선발)방법
가. 일반학과(정원 내)
1) 일반전형 및 학과간협동과정
• 학위<석사/박사(전일제/비전일제)/석․박사통합(전일제/비전일제)>과정별, 학과(부)별 모집인원 배정 및 선발
※ 박사과정(석‧박사통합과정 포함)의 경우 전일제와 비전일제를 구분하여 모집(선발)
2) 학연산협동과정: 협약추천기관 및 학과(부)에 관계없이 학위<석사/박사(비전일제)>과정별 모집인원 배정 및 선발
나. 첨단분야학과(정원 내)
• 각 첨단분야학과의 학위<석사/박사(석‧박사통합과정 포함)>과정 내, 전형유형(일반전형/학연산협동과정)별
모집인원 내에서 모집(선발)
※ 전형유형별 모집인원 대비 사정대상인원이 미달한 경우 미달되지 않은 전형으로 모집인원 재배정(동일과정 내 우선 배정).
다. 정부위탁생특별전형(정원 외): 학과(부)에 관계없이 석사과정 전체 모집(선발)
※ 정부위탁생특별전형(정원외)은 ‘일반학과’와 ‘첨단분야학과’ 구분 없이 모집(선발)
2. 일반학과 모집인원 배정방법<첨단분야학과는 해당 없음>
가. 1단계: 정원 내 전형유형 간 모집인원 배정
1) 대상전형유형
가) 석사과정: 일반전형, 학과간협동과정, 학연산협동과정
나) 박사과정(석‧박사통합과정 포함): 일반전형(전일제), 일반전형(비전일제), 학과간협동과정(전일제),
학과간협동과정(비전일제), 학연산협동과정
2) 배정방법
① 입학고사 후, 사정제외(결시/과락/서류미비 등)자를 제외한 사정대상자가 있는 학위<석사/박사(석‧
박사통합과정 포함)>과정별 각 전형유형에는 학위과정별 모집인원<※ 박사과정(석‧박사통합과정 포함)의
경우 전일제와 비전일제 각각에 배정된 모집인원>에서 1명씩 기본 배정
② 각 학위과정의 잔여 모집인원<※ 박사과정(석‧박사통합과정 포함)의 경우 전일제와 비전일제 각각에 배정된
모집인원의 잔여 모집인원>은 학위과정별 각 전형유형의 잔여 사정대상자 수에 비례하여 추가 배정
③‘①’과‘②’에서 배정한 인원을 합산한 인원을 각 전형유형별 모집인원으로 배정
나. 2단계: 전형유형별 모집인원 배정
1) 일반전형 및 학과간협동과정: 학과(부)별 모집인원 배정
<※ 박사과정(석‧박사통합과정 포함)의 경우 전일제와 비전일제 각각 학과(부)별 모집인원 배정>
① 입학고사 후, 사정대상자가 있는 각 학위<석사/박사(석‧박사통합과정 포함)>과정별 일반전형 및
학과간협동과정의 각 학과에는 각 학위과정별 일반전형 및 학과간협동과정에 배정된 모집인원
<※ 박사과정(석‧박사통합과정 포함)의 경우 일반전형 및 학과간협동과정의 전일제와 비전일제 각각에
배정된 모집인원>에서 1명씩 기본 배정(학부의 경우에는 소속 학과별 1명씩 기본 배정)
② 학위과정별 잔여 모집인원<※ 박사과정(석‧박사통합과정 포함)의 경우 일반전형 및 학과간협동과정의 전일제와
비전일제 각각에 배정된 모집인원의 잔여 모집인원>은 각 학위과정별 각 학과(부)의 잔여 사정대상자 수에
비례하여 추가 배정하되, 최대모집인원을 지정한 학과(부)는 최대모집인원 내에서 모집인원 배정
③‘①’과‘②’에서 배정한 인원을 합산한 인원을 각 학과(부)별 모집인원으로 배정
- 4 -
※ 석․박사통합과정의 모집인원 배정은 석․박사통합과정 모집 학과(부)별 박사과정 배정인원에 포함하여
배정하되, 해당 모집학과(부) 내 박사과정과 석․박사통합과정의 모집인원 배정은 각 학위(박사/석․박사
통합)과정의 사정대상자 수에 비례하여 배정
2) 학연산협동과정: 학연산협동과정 학위<석사/박사(비전일제)>과정별 전체 모집인원 배정
3) 정부위탁생특별전형: 석사과정(일반학과+첨단분야학과) 입학정원의 10% 이내에서 모집인원 배정
※ 정부위탁생특별전형(정원외)은 ‘일반학과’와 ‘첨단분야학과’ 구분 없이 모집인원 배정
※ 박사과정(석‧박사통합과정 포함)의 경우, 2개의 전형(전일제/비전일제) 중 하나의 전형(전일제 또는 비전일제)에서
해당 모집인원 대비 사정대상인원이 미달한 경우 미달 되지 않은 전형(전일제 또는 비전일제)으로 모집인원 재배정
※ 각 학위<석사/박사(석․박사통합 포함)>과정별 사정대상인원이 모집인원에 미달한 경우 위 배정방법을 시행하지 않고
사정대상인원을 각 학위<석사/박사(석․박사통합 포함)>과정별 전형유형별 학과(부)별 모집인원으로 배정
<다만, 최대모집인원을 지정한 학과(부)는 최대모집인원 내에서 모집인원 배정>
※ 모집인원 배정 최종 확정은 대학원위원회의 결정에 의함.
※ 위 모집인원 배정방법은 충북대학교의 2024학년도 대학원 학생정원 조정 결과에 따라 조정(변경)될 수 있음.
Ⅲ
전형일정
1. 원서접수: 2023. 11. 1.(수) ~ 11. 10.(금) (10일간) (인터넷접수)
2. 입학고사: 2023. 11. 27.(월)
• 면접‧전공구술고사: 전(全) 학과
• 전공필기고사: 심리학과
3. 합격자 발표: 2023. 12. 15.(금) (예정)
4. 등록금 납부: 2024. 1. 15.(월) ~ 1. 19.(금) (5일간)
<다만, 외국인 중 해당자: 2024. 1. 3.(수) ∼ 1. 5.(금) (3일간)>
Ⅳ
지원 자격
1. 석사과정
가. 일반전형 및 학과간협동과정
•
학사학위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추가 지원 자격>
•
식품영양학과 임상영양학전공: 영양사면허증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영양사 국가시험 합격 후, 3월까지
영양사면허증 제출가능자 포함)
•
의학과, 의생명융합학과 및 의용생체공학학과간협동과정: 지원 전공 교수동의서 제출자
•
간호학과 감염관리전문간호전공: 간호사면허증 소지자로서 최근 10년 이내에 의료기관에 설치된 감염관리실
(100% 해당 경력으로 인정) 및 종합병원(75%만 해당 경력으로 인정)에서
3년 이상 간호사로서의 실무경력이 있는 자<※ 기간 산정기준일: 2024. 3. 1.>
나. 학연산협동과정
•
학사학위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학연산협동과정 협약기관장의 추천을 받은 자
- 5 -
<※ 추가 지원 자격> 의학과 및 의생명융합학과: 지원 전공 교수동의서 제출자
※ 학연산협동과정에 합격하여 입학한 자가 협약추천기관에서 퇴사할 경우 제적 처리 됨.
(다만, 학위논문을 통과한 후 또는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음.)
※ 학연산협동과정 협약체결 기관(18개 기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립산림과학원,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LS일렉트릭(주)전력연구소,
한국천문연구원, 농촌진흥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질병관리청,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다. 정부위탁생특별전형
•학사학위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공무원 인재개발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위탁교육훈련을 위하여 선발된 중앙 행정기관의
공무원과 군위탁생 규정 제4조에 따라 임명되어 선발된 군인으로서 교육부장관의 추천을 받은 자
<※ 추가 지원 자격> 의학과, 의생명융합학과 및 의용생체공학학과간협동과정: 지원 전공 교수동의서 제출자
2. 박사과정
가. 일반학과의 일반전형(전일제) 및 학과간협동과정(전일제)
•
석사학위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아래 전일제(Full Time) 자격을 갖춘 자
※ 전일제(Ful Time): 별도의 직업 없이 원칙적으로 평일 주간에 학업 및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학생
<4대 보험 (직장)미가입자(정규 직장이 없는 자)>
<※ 추가 지원 자격> 의학과, 의생명융합학과 및 의용생체공학학과간협동과정: 지원 전공 교수동의서 제출자
나. 일반학과의 일반전형(비전일제) 및 학과간협동과정(비전일제)
•
석사학위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위 전일제(Full Time)에 해당되지 않은 자 또는 전일제
학업 의사가 없는 자
<※ 추가 지원 자격> 의학과, 의생명융합학과 및 의용생체공학학과간협동과정: 지원 전공 교수동의서 제출자
다. 첨단분야학과의 일반전형
•
석사학위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라. 학연산협동과정
•
석사학위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의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학연산협동과정 협약기관장의 추천을 받은 자
<※ 추가 지원 자격> 의학과 및 의생명융합학과: 지원 전공 교수동의서 제출자
※ 학연산협동과정에 합격하여 입학한 자가 협약추천기관에서 퇴사할 경우 제적 처리 됨.
(다만, 학위논문을 통과한 후 또는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음.)
※ 학연산협동과정 협약체결 기관(18개 기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립산림과학원,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LS일렉트릭(주)전력연구소,
한국천문연구원, 농촌진흥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질병관리청,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6 -
3. 석․박사통합과정
가. 일반학과의 일반전형(전일제) 및 학과간협동과정(전일제): 아래의 하나에 해당하는 자
1) <석
·박사통합과정 신입 지원자>
• 학사학위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아래 전일제(Full Time) 자격을 갖춘 자
※ 전일제(Ful Time): 별도의 직업 없이 원칙적으로 평일 주간에 학업 및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학생
<4대 보험 (직장)미가입자(정규 직장이 없는 자)>
2) <석
·박사통합과정 전환 지원자
※>
• 충북대학교 대학원(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생 중 15학점 이상 취득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로서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아래 전일제(Full Time) 자격을 갖춘 자
※ 전일제(Ful Time): 별도의 직업 없이 원칙적으로 평일 주간에 학업 및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학생
<4대 보험 (직장)미가입자(정규 직장이 없는 자)>
※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석사과정 수료예정자는 지원 불가
※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석사과정에서 학‧석사연계과정 중인 자는 지원 불가
※ 석사과정과 다른 학과(부/전공)로 입학(진학)한 경우에는 학점과 학기 인정 등에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 추가 지원 자격> 의학과, 의생명융합학과 및 의용생체공학학과간협동과정: 지원 전공 교수동의서 제출자
나. 일반학과의 일반전형(비전일제) 및 학과간협동과정(비전일제): 아래의 하나에 해당하는 자
1) <석
·박사통합과정 신입 지원자>
• 학사학위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위 전일제(Full Time)에 해당되지 않은 자 또는
전일제 학업 의사가 없는 자
2) <석
·박사통합과정 전환 지원자
※>
• 충북대학교 대학원(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생 중 15학점 이상 취득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로서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위 전일제(Full Time)에 해당되지 않은 자 또는 전일제 학업
의사가 없는 자
※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석사과정 수료예정자는 지원 불가
※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석사과정에서 학‧석사연계과정 중인 자는 지원 불가
※ 석사과정과 다른 학과(부/전공)로 입학(진학)한 경우에는 학점과 학기 인정 등에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 추가 지원 자격> 의학과, 의생명융합학과 및 의용생체공학학과간협동과정: 지원 전공 교수동의서 제출자
다. 첨단분야학과의 일반전형: 아래의 하나에 해당하는 자
1) <석
·박사통합과정 신입 지원자>: 학사학위 소지자(2024년 2월까지 취득가능자 포함)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 <석
·박사통합과정 전환 지원자
※>: 충북대학교 대학원(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생 중 15학점 이상
취득자(2024년 2월까지 취득 가능자 포함)
※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석사과정 수료예정자는 지원 불가
※ 지원(원서접수)일 당시 석사과정에서 학‧석사연계과정 중인 자는 지원 불가
※ 석사과정과 다른 학과(부/전공)로 입학(진학)한 경우에는 학점과 학기 인정 등에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 7 -
4. 그 밖에 지원 자격
가. 외국 국적 지원자 어학능력 지원 자격
1) 적용대상자: 지원자 중 외국 국적자만 적용
※ 다만, 한국 국적자 및 모국어가 영어인 국적자(미국/영국/캐나다/남아프리카공화국/뉴질랜드/호주/아일랜드)는 해당 없음.
2) 어학능력 지원 자격: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자
•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이상 소지자
• 영어능력시험 TOEFL(PBT 530, CBT 197, iBT 71), IELTS 5.5, CEFR B2, TEPS 600점, NEW TEPS 326점 이상 소지자
• 충북대학교 대학원 지원 학과로부터 학업수학능력(한국어 또는 영어)을 인정받아 지원 학과의 동의를 받은 자
※ 한국어 또는 영어 공인어학성적은 입학허가일 기준 유효한 것만 인정
▪입학 시 요구 어학 조건과 졸업(학위취득) 시 요구되는 어학 조건은 별개임
▪즉, 졸업 시 논문제출자격시험(외국어)을 대체하고자 하는 경우 「충북대학교 대학원 논문제출자격시험(외국어)
대체시행지침」에 따르는 어학 조건 중 하나를 제출하여 졸업 조건을 만족하여야만 졸업 가능
※ 충북대학교 국제교류본부 대학원 외국인특별전형 어학능력 지원 자격 준용
나. 하위 학위과정 출신 학과(전공)에 관계없이 지원 가능
다. 충북대학교에 재직 중인 조교수 이상의 전임교원은 지원할 수 없음(2024년 3월 재직 기준).
Ⅴ
전형방법
1. 전형요소 및 반영점수(비율)
대상 학과
하위 학위과정
성적
면접․전공구술고사
성적
전공필기고사
성적
계
전(全) 학과
※ 심리학과 제외
40 (40%)
60 (60%)
-
100 (100%)
심리학과
20 (20%)
30 (30%)
50 (50%)
100 (100%)
※ 과락평가기준
• 면접·전공구술고사: 평가위원 3분의 2이상 5등급 평가를 받은 자
• 전공필기고사: 시험과목 중 한과목이라도 40점미만을 득점한 자
2. 합격자 선발방법
가. 석사과정
1) 일반학과(정원내)
가) 일반전형 및 학과간협동과정: 위 해당 전형유형의 각 학과(부)별로 배정된 모집인원 내에서
전형요소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나) 학연산협동과정: 협약추천기관 및 학과에 관계없이 학연산협동과정에 배정된 모집인원 내에서
전형요소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2) 첨단분야학과(정원내)
가) 일반전형: 첨단분야학과별로 일반전형에 배정된 모집인원 내에서 전형요소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 8 -
나) 학연산협동과정: 협약추천기관에 관계없이 첨단분야학과별로 학연산협동과정에 배정된 모집인원
내에서 전형요소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3) 정부위탁생특별전형(정원외): 학과에 관계없이 정부위탁생특별전형에 배정된 모집인원<석사과정
(일반학과+첨단분야학과) 입학정원의 10% 이내> 내에서 전형요소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 정부위탁생특별전형(정원외)은 “일반학과”와 “첨단분야학과” 구분 없이 선발
나. 박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
1) 일반학과(정원내)
가) 일반전형(전일제), 일반전형(비전일제), 학과간협동과정(전일제), 학과간협동과정(비전일제)
• 위 해당 전형유형의 각 학위(박사/석‧박사통합)과정별 학과(부)별로 배정된 모집인원 내에서
전형요소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나) 학연산협동과정: 협약추천기관 및 학과에 관계없이 학연산협동과정(박사과정)에 배정된 모집인원
내에서 전형요소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2) 첨단분야학과(정원내)
가) 일반전형: 첨단분야학과별로 각 학위(박사/석‧박사통합)과정별 일반전형에 배정된 모집인원 내에서
전형요소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나) 학연산협동과정: 협약추천기관에 관계없이 첨단분야학과별로 학연산협동과정(박사과정)에 배정된
모집인원 내에서 전형요소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 순으로 합격자 선발
다. 예비후보 선발: 아래 라)항(사정제외자)에 해당되지 않는 불합격자 전원을 예비후보로 선발
라. 아래의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사정제외(불합격) 처리
<※ 사정제외자는 총점을 0점으로 처리>
1) 면접․전공구술고사 결시 자 및 과락평가자
2) 전공필기고사 결시 자 및 과락평가자(※ 심리학과만 해당)
3) 지원 자격 미달 자, 제출서류 미제출자 및 제출 포기자
4) 학위과정 수학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자
5) 부정행위자
마. 사정대상자 중 총점 동점자는 아래의 우선순위에 따라 선발(순위 구분)
① 전공필기고사 성적이 높은 자(※ 심리학과만 해당)
② 면접․전공구술고사 성적이 높은 자
③ 하위 학위과정 성적<원점수(백분율점수)>이 높은 자
④ 하위 학위과정 취득학점이 많은 자
⑤ 하위 학위과정 졸업연월 기준 최근 졸업자
⑥ 하위 학위과정 입학연월 기준 최근 입학자
⑦ 하위 학위과정 마지막 이수학기<계절학기 제외> 순으로 성적(평점평균)이 높은 자
⑧ 하위 학위과정 마지막 이수학기<계절학기 제외> 순으로 취득학점이 많은 자
※ 다만, 최종 ⑧번 우선순위에서도 순위가 구분되지 않는 총점 동점자는 동 순위로 처리하되, 반드시 순위 구분이
필요한 경우(합격선 또는 예비후보 등)에는 대학원위원회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순위 구분
- 9 -
바. 충원합격자 선발
• 합격자의 미등록(등록후포기 포함) 등으로 인한 결원에 대해서는 위의 3)항에 따라 선발된 예비후보자
중에서 전형요소 성적을 합산한 총점 고득점 순으로 충원합격자를 선발하되, 세부 선발방법은 합격자
사정 시 대학원위원회에서 정함.
Ⅵ
면접․전공구술고사
1. 평가항목: 전공적성, 기본소양, 포트폴리오※
※ 포트폴리오는 조형예술학과 및 디자인학과만 해당
2. 평가항목별 평가등급(배점)
대상 학과(부)
평가항목
평가등급
1등급
(매우우수)
2등급
(우수)
3등급
(보통)
4등급
(미흡)
5등급
(매우미흡)
전(全) 학과(부)
※ 아래학과 제외
전공적성
평 가
등급별
배 점
30
27
24
21
18
기본소양
30
27
24
21
18
계
60
54
48
42
36
심리학과
전공적성
평 가
등급별
배 점
15
13.5
12
10.5
9
기본소양
15
13.5
12
10.5
9
계
30
27
24
21
18
조형예술학과,
디자인학과
전공적성
평 가
등급별
배 점
15
13.5
12
10.5
9
기본소양
15
13.5
12
10.5
9
포트폴리오
※
30
27
24
21
18
계
60
54
48
42
36
3. 포트폴리오
(8 inch×10 inch 규격의 작품사진)는 반드시 10매로 평가
4. 박사과정의 경우 학과의 선택에 따라 연구실적<논문(석사학위논문 포함), 학회지, 학술지 등>을
면접․전공구술고사 평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5. 과락평가 기준: 위 평가항목별 평가등급(배점)에 따라 평가위원 3분의 2이상 5등급 평가 시
과락평가자로 사정제외(불합격) 처리함.
※ 5등급 평가란 평가위원 1인이 위의 2가지 평가항목(전공적성/기본소양)을 모두 5등급으로 평가한 경우임.
<다만, 조형예술학과 및 디자인학과는 3가지 평가항목(전공적성/기본소양/포트폴리오)을 모두 5등급으로 평가한 경우임.>
- 10 -
Ⅶ
전공필기고사
1. 대상학과: 심리학과
2. 평가방법: 시험과목별 100점 만점으로 평가(채점)
3. 반영점수: (시험과목별 취득점수의 합/시험과목수)×(50/100)
4. 시험과목 등 안내자료
• 시험과목명, 시험과목 수, 시험시간, 문제유형, 출제경향 등 시험과목 안내자료는 기본계획
확정 후, 심리학과의 의견을 받아 별도로 정하여 사전 공지 및 모집요강에 반영함.
5. 과락평가기준(시험과목당 100점 만점 기준)
• 시험과목 중 한과목이라도 40점미만 득점자는 과락평가자로 사정제외(불합격) 처리함.
Ⅷ
그밖에 사항
1. 이 기본계획은 우리대학의 사정에 따라 변경(조정)될 수 있으며, 최종 확정된 사항은
추후 공지되는 모집요강에서 확인 바람.
2. 학연산협동과정에 합격하여 입학한 자가 협약추천기관에서 퇴사할 경우 제적 처리됨.
(다만, 학위논문을 통과한 후 또는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음.)
3. 전기모집 후, 각 학위<석사/박사(석․박사통합 포함)>과정별
(※ 첨단분야학과의 경우, 각 첨단
분야학과별 학위과정별) 입학정원 대비 미충원 인원이 있는 경우, 전기 추가모집(2024년
1~2월경 모집)
, 후기모집(2024년 5~6월경 모집), 후기 추가모집(2024. 7~8월경 모집)을 실시
할 수 있으며, 해당 모집시기별 모집에 대한 사항(모집요강)은 대학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별도 공고(공지) 함.
4. 이 기본계획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충북대학교 학칙, 관계규정 및 대학원위원회의
결정에 따름